내년 가계소비, 평균 2.4% 감소 전망…고물가·소득감소 우려
상태바
내년 가계소비, 평균 2.4% 감소 전망…고물가·소득감소 우려
  • 이성태 기자
  • 승인 2022.12.06 14: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0년 하반기 이후 증가세를 지속하면서 우리경제의 안전판 역할을 수행해오던 가계소비가 내년에는 고물가와 경기침체에 따른 소득감소 우려 등으로 부진할 것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6일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만 18세 이상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2023년 국민 소비지출 계획’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 과반(56.2%)은 내년 소비지출을 올해 대비 축소할 계획이었다.

내년 가계 소비지출은 올해에 비해 평균적으로 2.4%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소득분위별로는 상위 20%인 소득5분위만 소비지출이 증가(+0.8%)하고 나머지 소득1~4분위(하위 80%)는 모두 소비지출이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1~4분위에서는 소득이 낮을수록 소비지출 감소폭이 더욱 클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분위별 내년도 소비지출 전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소득1분위 △6.5%, 2분위 △3.1%, 3분위 △2.0%, 4분위 △0.8%, 5분위 0.8%다.

이에 대해 전경련은 소득이 낮을수록 고물가와 경기침체에 따른 고용·소득감소 영향을 많이 받아 소비여력이 비례적으로 축소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자료=전경련]
[자료=전경련]

국민들은 내년 소비지출을 축소하는 주요 이유로 물가 상승(43.9%)을 가장 많이 꼽았고 실직·소득 감소 우려(13.5%), 세금·공과금 부담(10.4%), 채무(대출 원리금 등) 상환 부담(10.3%) 등이 뒤를 이었다.

품목별로는 여행·외식·숙박(21.0%), 내구재(15.4%), 여가·문화생활(15.0%) 등의 소비를 줄이겠다고 답했다. 최근 민간소비를 주도하고 있는 대면서비스업을 중심으로 내년도 소비감소가 전망된다.

반면 음식료품(26.6%), 주거비(전·월세와 전기·가스 등)(20.9%), 생필품(12.7%) 등 필수소비재는 소비가 늘어날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해당 품목이 최근 가격 상승에도 지출을 줄이기 어려운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전경련은 조사결과를 토대로 내년에는 국민들이 본격적인 경기침체에 대비해 꼭 필요한 소비를 제외하고는 허리띠를 바짝 졸라맬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자료=전경련]
[자료=전경련]

내년 소비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리스크 요인으로는 물가 상승세 지속(46.0%), 금리 인상(27.0%), 세금·공과금 부담 증가(11.9%), 부동산·주식 등 자산시장 위축(8.9%) 등이 지적됐다.

한편 대다수(74.5%) 국민들은 내년에 경기침체의 강도가 커질 것으로 우려하면서 가계형편이 올해보다 나빠질 것으로 보았다. 가계형편이 나아질 것으로 본 응답비중은 25.5%에 그쳤다.

[자료=전경련]
[자료=전경련]

국민 10명 중 6~7명(65.3%)은 물가와 채무상황 등을 고려했을 때 내년에 계획한 소비를 이행함에 있어 소비여력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응답했다.

부족한 소비 여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부업(35.7%), 저축 해지(22.6%), 주식 등 금융자산 매도(17.9%) 등을 꼽았다.

국민들은 소비활성화 시점으로 2024년 상반기(24.1%)와 2023년 하반기(21.9%)를 가장 많이 꼽았다. ‘기약 없음’ 응답 비중도 21.5%에 달했다.

소비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로는 물가·환율 안정(42.7%), 금리 인상 속도 조절(20.9%), 조세부담 완화(14.5%) 등을 지적했다.

[자료=전경련]
[자료=전경련]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고물가·고금리 상황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내년에 1%대의 저성장이 현실화될 경우 가계의 소비 펀더멘털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며 “정부는 민간소비의 핵심인 가계소득 보전을 위해 기업활력 제고로 일자리 유지‧창출 여력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