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詩興)과 시정(詩情)
상태바
시흥(詩興)과 시정(詩情)
  • 한정주 고전연구가
  • 승인 2020.10.19 08: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덕무 詩의 온도]㊾ 강촌에서 즉흥으로 읊다
고희동, 산수, 한지에 수묵담채, 27×36cm, 1920년.
고희동, 산수, 한지에 수묵담채, 27×36cm, 1920년.

아득하고 검푸른 한강 가                     漢漠滄江邊
한가로이 떠도는 구름 높은 봉우리 넘어가네  閒雲度高岑
그 사이 숨어 사는 고상한 선비               高人隱其間
나지막한 집 거문고 둥둥 희롱하고            衡門弄素琴
밭 일구는 농부 고기 낚는 어부 어울려        園丁與溪父
날마다 스스로 서로를 찾아다니네             日日自相尋
푸른 산기슭 약초 캐고                       採藥靑山麓
푸른 산골 물가 낚싯대 드리우네              垂釣碧澗潯
산새도 자신의 뜻 있다는 듯                  山鳥亦有意
짹짹대며 맑은 소리 보내주네                 送好音
큰 소리로 노래 한 곡조 부르고 나자          浩歌一唱罷
그윽한 흥취 너무나 상쾌하네                 幽興爽然深
화창한 바람 때 맞춰 솔솔 불어오니           和風有時來
나무에 기대 가슴을 활짝 풀어헤치네          倚樹披蘿襟
밝은 해 초가집 드리우니                     白日下茆屋
섬돌 꽃, 그늘 질 듯                          堦花欲生陰
청명한 모래사장 갈매기 오락가락             晴沙鷗來去
따뜻한 강 물결 오리 떴다 잠겼다             暖波鴨浮沉
온갖 풍경 사계절 맞춰주니                   萬象供四時
감상은 오직 내 마음 대로                    攬賞惟吾任
『영처시고 1』 (재번역)

칠석 이튿날 벗들과 삼청동 읍청정에서 놀며

살랑살랑 검양옻나무                         瑟瑟鴉舅樹
연못 속 돌 쌓고 심었네                      疊石池裏裁
가을 빛 거꾸로 비춰 맑고                    倒寫秋暉凈
연못 빛 나무 위 올라오네                    池光上樹來

헤엄치는 아이 오리와 내기하니               泅兒賽鳧兒
작은 물웅덩이 흙탕물 일어나네               斛水斗泥爛
잠자리 몸짓하며 날아다니고                  蜻蜓弄頭翅
나타났다 사라졌다 머리 적시네               時掠出沒丱

돌의 정기 모인 이곳                         石氣之所鍾
나무 수척하고 샘 향긋하네                   樹癯而泉馨
가을 시인의 붓 억세                         秋士筆倍勁
그 소리 지극히 깊고 맑구나                  其音盡泓渟

곡식 창고 너머 눈길 보내니                  送目倉屋頭
가을 구름 뭉게뭉게 피어오르네               秋雲朶皆亞
비늘 구름 사이 하늘 보이니                  罅靑鱗鱗裏
시 짓고 싶은 마음 문득 곱고 예쁘네          詩心忽裊娜

옷에 스민 풀 향기 풍기고                    草香生衣履
나무 그림자 수염 지나가네                   樹影度鬢鬚
아득한 백악산 찾아가기 어려워               白岳遙難即
붉은 단청 난간 멍하니 앉아있는 나           紅欄坐著吾

늦여름 초가을 마주치니                      夏尾秋頭接
말끔히 갠 날 며칠째                         新晴才數日
서늘한 회화나무 숲 한 마리 매미             一蟬涼槐多
상쾌하게 일곱 시인 모였네                   脩然作者七
『아정유고 1』 (재번역)

[한정주=고전연구가] 어느 순간 혹은 어떤 때 시를 써야 좋은 시를 얻을 수 있을까. 시흥(詩興)이 이는 대로 혹은 시정(詩情)이 일어나는 대로 지은 시가 가장 좋다.

무엇인가에 도취되어 마음에서 일어나는 시적 흥취(興趣)를 시흥이라고 한다. 무엇인가를 마주 대할 때 가슴에서 일어나는 시적 정취(情趣)를 시정이라고 한다. 그런 의미에서 시흥과 시정은 모두 시를 짓고 싶어 하는 마음이 일어나는 상태를 가리킨다.

그럼 언제 시흥과 시정이 일어날까. 이덕무는 『이목구심서』에서 이 순간을 이렇게 말한다.

“좋은 날 아름다운 경치를 만나면 시흥(詩興)으로 어깨가 산처럼 솟아오르고 눈동자에는 물결이 일렁거리며 두 뺨에는 향기가 풍기고 입에는 꽃이 활짝 피어난다. 좋은 날 아름다운 경치 때 맑고 밝은 벗들을 맞이해 종이 두루마리를 벌려놓으면 시정(詩情)을 북돋아 도울 것이다.”

시흥과 시정이 일어날 때 쓴 시가 좋은 까닭은 무엇인가. 이 순간만큼은 가식과 인위가 섞이지 않은 자연스럽고 진솔한 시가 나오기 때문이다. 자연스럽게 짓고 진솔하게 짓는 것 보다 더 좋은 시가 어디에 있겠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