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기술 유용·보복 조치 등에 과징금 가중 부과
상태바
공정위, 기술 유용·보복 조치 등에 과징금 가중 부과
  • 이성태 기자
  • 승인 2016.07.24 09: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앞으로 하도급법 위반 행위에 대한 과징금 기본 금액 산정 방식이 ‘하도급 대금의 2배’에 일정한 부과율을 곱해 산정하는 방식에서 법 위반금액 비율을 곱하고 2차적으로 부과율을 곱해 산정하는 방식으로 변경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하도급법 위반 사업자에 대한 과징금 부과 기준에 관한 고시를 개정해 25일부터 시행한다고 24일 밝혔다.

개정 고시에서는 불법적 이익(법 위반 금액)에 비례해 과징금이 부과되도록 하되 법 위반 금액 산정이 곤란한 위반 행위는 정액 과징금이 부과되도록 했다. 또한 과징금 가중·감경 폭을 축소해 가중·감경이 엄격히 이루어지도록 했다.

이는 사업자가 법 위반 행위를 통해 취득한 불법적 이익이 많더라도 하도급 대금의 금액이 적으면 과징금 액수가 적게 산정되고, 반대로 사업자가 얻은 불법적 이익이 적더라도 하도급 대금의 금액이 많으면 과징금 액수가 많게 산정되는 불합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개정 고시에 따르면 과징금 부과율은 먼저 각 위반 행위를 대상으로 법 위반 행위 유형과 피해 수급 사업자의 비율, 수급 사업자의 경영 악화에 영향을 미친 정도 등 3가지 요소에 따라 1점부터 3점까지 점수를 부여한다.

총점에 따라 중대성 정도를 3단계로 구분해 중대성 판단 점수가 2.2점 이상인 경우 60% 이상 80% 이하, 1.4점 이상 2.2점 미만인 경우 40% 이상 60% 미만, 1.4점 미만인 경우 20% 이상 40% 미만의 범위에서 과징금을 결정한다.

위반 행위 유형 요소의 경우 0.5의 가중치로 위반 행위가 특정 거래 상대방에 대한 단순 계약 채무 불이행에 해당되는지, 아니면 하도급 업체의 성장 기반이나 혁신 역량까지 저해할 수 있는지에 따라 1점, 2점, 3점으로 점수를 차등 부여하게 된다.

기술 유용, 부당 감액․부당 대금 결정·부당 반품, 보복조치, 탈법 행위 등은 3점이 부여된다.

피해를 입은 수급 사업자의 비율 요소의 경우 0.3의 가중치로 위반 행위 당시 전체 수급 사업자 중 피해를 입은 수급 사업자의 비율이 70% 이상인 경우 3점, 30% 이상 70% 미만인 경우 2점, 30% 미만인 경우 1점을 부여하도록 했다.

수급 사업자의 경영 악화에 영향을 미친 정도 요소의 경우 0.2의 가중치로 위반 행위로 인해 수급 사업자가 도산에 이르는 등 현저한 경영 악화가 초래된 경우에는 3점이 부여된다.

법 위반 사업자에게 잔존하는 불법적 이익은 모두 과징금으로 환수되도록 하도급 대금의 2배에 법 위반 금액 비율과 부과율을 곱해 산정된 과징금 기본금액이 잔존하는 불법적 이익보다 적은 경우에는 잔존하는 불법적 이익의 가액을 기본 금액으로 하도록 했다.

한편 정액 과징금은 법 위반 금액 비율 산정이 곤란한 행위에 부과되는데 매우 중대한 위반 행위로 판단되는 경우 3억원 이상 5억원 이하, 중대한 위반 행위는 1억원 이상 3억원 미만, 중대성이 약한 위반 행위는 2000만원 이상 1억원 미만을 부과한다.

기술 유용, 보복 조치 등 시장에 미치는 폐해가 큰 행위는 앞으로 대부분 매우 중대한 위반 행위로 분류돼 법 위반 금액 산정이 곤란하더라도 최소 3억원에서 최대 5억원까지 과징금 부과가 가능해진다.

가중 사유로는 과거 3년간 법 위반 횟수 3회 이상·벌점 2점 이상의 상습적인 법 위반 사업자인 경우, 피해 수급 사업자의 수가 50개 이상으로 많은 경우, 보복 조치를 행한 경우로 규정해 각 사유의 가중 비율을 이전의 최대 50%에서 최대 20%로 축소했다.

감경 사유로는 사업자가 법 위반 행위를 자진 시정한 경우, 조사에 협력한 경우로 한정해 감경 비율은 최대 40’에서 최대 20%로 축소했다.

가중 비율 축소는 최종적으로 부과되는 과징금 액수를 이전에 비해 줄이는 요소로 작용되고 감경 비율 축소는 반대로 부과 과징금 액수를 이전에 비해 늘리는 요소로 작용되지만 사건 처리 현실에서는 감경 사유가 가중 사유에 비해 훨씬 빈번하게 적용돼 이번 가중·감경 기준 정비는 결과적으로 최종적으로 부과되는 과징금을 늘리는 방향으로 작용되게 된다.

과징금 부과 처분의 대상이 되는 위반 행위가 복수의 유형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위반 행위 유형별로 과징금을 각각 산정해 합산한 금액을 과징금 액수로 한다.

공정위는 이번 개정 고시를 통해 앞으로 부과되는 과징금 액수는 법 위반 정도에 비례하게 돼 제재의 합리성이 제고되고, 특히 법 위반 사업자가 얻은 불법적 이익은 과징금 부과를 통해 빈틈없이 환수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