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서 귀환한 ‘앙부일구’ 일반 공개…애민정신 담은 조선 과학기술의 정수
상태바
미국서 귀환한 ‘앙부일구’ 일반 공개…애민정신 담은 조선 과학기술의 정수
  • 이성태 기자
  • 승인 2020.11.17 09: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화재청은 지난 상반기 미국의 한 경매에 출품된 조선 시대 해시계인 ‘앙부일구(仰釜日晷)’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을 통해 지난 6월 매입해 17일 오후 2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공개한다고 밝혔다.

문화재청은 지난 1월 유물에 대한 정보를 입수해 면밀한 조사와 검토, 국내 소장 유물들과의 과학적 비교분석 등을 진행했다. 코로나19로 지난 3~6월 수 차례 경매가 취소되고 연기되는 우여곡절 끝에 지난 8월 마침내 국내로 들여오는 데 성공했다.

‘앙부일구’는 ‘하늘을 우러러보는(仰·앙) 가마솥(釜·부) 모양에 비치는 해그림자(日晷·일구)로 때를 아는 시계’라는 뜻으로 조선 시대 과학 문화의 발전상과 통치자의 백성을 위하는 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물이다.

환수된 앙부일구는 18세기에서 19세기 초 사이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지름 24.1㎝, 높이 11.7㎝, 약 4.5㎏의 무게를 지닌 금속제 유물이다.

정확한 시간과 계절을 측정할 수 있는 조선의 우수한 과학 수준을 보여주는 동시에 정밀한 주조기법, 섬세한 은입사 기법, 다리의 용과 거북머리 등의 뛰어난 장식요소를 볼 때 고도로 숙련된 장인이 만든 높은 수준의 예술작품임을 알 수 있다.

유교 국가에서 ‘관상수시(觀象授時: 하늘을 관찰해 백성에게 절기와 시간을 알림)’는 왕의 가장 중요한 임무 중 하나였다. 앙부일구는 백성을 굽어 살피는 애민(愛民) 정신을 담아 만든 조선 최초의 공중(公衆) 시계로 세종 대부터 조선 말까지 제작됐다.

세종대왕은 앙부일구를 처음으로 만들어 백성들이 시간을 읽을 수 있도록 종묘와 혜정교(惠政橋: 지금의 서울 종로1가)에 설치한 바 있었다.

현대 시각체계와 비교했을 때도 거의 오차가 나지 않으며 절후(節候: 한 해를 스물넷으로 나눈 기후 표준점), 방위(方位), 일몰시간, 방향 등을 알 수 있는 체계적이고 정밀한 과학기기다.

그러나 조선시대 과학 기기류는 기록으로만 전하는 것이 많으며, 이와 유사한 크기와 재질의 앙부일구는 국내에 불과 7점만 전하고 있다.

환수된 앙부일구는 서울의 위도에서 정확한 시간을 읽을 수 있도록 제작됐다.

이번에 돌아온 앙부일구는 앞으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관리되며 자격루, 혼천의 등 기타 과학 문화재들과 함께 연구, 전시, 보고서 출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계획이다. 오는 18일부터 12월20일까지 박물관 내 과학문화실에서 일반에 특별 공개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