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수입시장서 한국 점유율 제자리걸음…현지 정보·바이어 발굴 어려움 호소
상태바
인도 수입시장서 한국 점유율 제자리걸음…현지 정보·바이어 발굴 어려움 호소
  • 이성태 기자
  • 승인 2019.03.26 09: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 기업들이 인도 수출에 애를 먹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26일 발표한 ‘무역업계가 제시한 대인도 수출환경 개선방안’에 따르면 2010년 한·인도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이 발효됐지만 인도 수입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2010년 4.4%, 2015년 4.6%를 거쳐 2018년에도 4.5%로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무역협회가 연간 인도 수출액 10억 달러가 넘는 수출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인도 수출환경에 관해 설문조사한 결과 최근 3년(2015~2018년) ‘인도 수출이 감소하거나 정체하고 있다’고 응답한 업체가 209개, 67.6%를 차지했다.

품목별로는 ‘섬유’(81.3%), ‘전자’(76.0%), ‘정밀기계’(73.9%), ‘자동차 및 부품’(72.3%) 순이었다.

인도 수출이 정체 또는 감소한 203개는 수출둔화 요인으로 ‘현지 네트워크 확보 어려움’(27.1%)을 비롯해 ‘생산성 하락’(24.1%), ‘현지생산 증가’(20.2%) 등을 꼽았다.

현지 네트워크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로는 ‘자체 발굴역량 부족’(49.3%)을 가장 많이 지적했으며 ‘로컬에이전시 활용 악화’(20.2%), ‘한국 및 인도 정부 지원 부족’(18.2%)이 뒤를 이었다. 특히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자체 발굴역량 부족’을 지목했다.

실제 인도에 이동통신기기 부품을 수출하는 A사는 종업원 50명 미만의 작은 기업으로 3명의 해외영업 인력이 인도, 중국, 기타 국가의 수출을 총괄하고 있어 현지 전시회 참가 등 네트워크 발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생산성 하락의 세부 요인으로는 ‘자재비용 증가’(36.5%), ‘인건비 증가’(21.7%), ‘경영 비효율 증가’(3.9%), ‘재무적 불안정’(3.4%)이 지목됐다.

한·인도 CEPA 미활용 이유로는 ‘활용정보 부족’(25.0%)이 가장 많았고 ‘원산지 인증 등 활용방법 복잡’(16.7%), ‘양허대상 여부 미인지’(15.6%), ‘효과 미미’(14.6%), ‘전담인력 부족’(8.3%), ‘비용 부담’(7.3%), ‘수입업체의 거부’(2.1%) 등이 지적됐다.

인도 수출이 둔화된 기업들은 가장 필요한 정부 지원으로 ‘수출 컨설팅 등 정보’(24.1%)를 가장 많이 꼽았고 ‘기업 매칭’(20.2%), ‘금융’(19.2%), ‘인도 주정부와의 협력’(15.8%), ‘CEPA 활용’(14.3%) 등도 요청했다.

무역연구원 전략시장연구실 조의윤 연구원은 “성장 잠재력이 큰 인도 시장에서 우리 기업들이 경쟁력을 갖추려면 한·인도 CEPA 개선협정 등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일례로 자동차 내장용 합성고무의 경우 우리나라는 12.5%의 수입관세를 부과 받는 반면 일본은 2011년의 일·인도 CEPA를 통해 무관세 혜택을 적용받아 2012년부터 한국보다 많은 수출액을 기록 중”이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