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 “안전성 담보되지 않은 GMO벼 상용화 즉각 중단해야”
상태바
경실련, “안전성 담보되지 않은 GMO벼 상용화 즉각 중단해야”
  • 이성태 기자
  • 승인 2015.10.16 10: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가 상용화를 계획하고 있는 유전자변형(GMO)벼에 대해 경실련이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았다고 즉각 중단을 요구했다.

경실련 소비자정의센터는 16일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은 GMO벼와 작물들이 상용화될 경우 국민건강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는 것을 넘어 환경 등에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다”고 반대 입장을 밝혔다.

앞서 지난 9월 농촌진흥청 산하 GM작물개발사업단 박수철 단장은 “올해 안에 GM벼에 대한 안전성심사를 신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상은 당뇨, 고혈압 등 대사성질환 예방, 비만 억제, 미백 효과 등이 강화된 GMO벼다.

농촌진흥청은 식탁에 자주 오르는 13작물 58종의 GMO작물을 개발 중에 있다.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의 ‘2015 바이오안전성백서’에 따르면 현재 안전성 평가가 통과돼 안전성 심사 신청을 준비 중인 GMO작물은 총 4종이다.

경실련 소비자정의센터가 농촌진흥청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확인한 결과 지난해 9월까지 총 17작물 180종이 더 개발되고 있었다.

기관별로는 국립농업과학원 99종, 국립식량과학원 33종, 국립원예작물특작 과학원 30종, 국립축산과학원 9종, 공동연구(농과원·식량원) 9종이다.

특히 주식인 벼는 정부에 의해 현재 120여종이 GMO로 개발되고 있다. 정부는 GMO벼를 개발하면서 쌀을 주식으로 먹는 국민들의 건강에 도움이 되고 향후 산업소재로 활용가치가 높을 것이라 기대하며 GMO벼가 상용화되면 우리 쌀의 가치 증진과 소비·수요 확대가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경실련은 농촌진흥청을 비롯한 정부가 식품·농산물용 GMO 개발 등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에 명확한 대책도 내놓지 않은 채 일방적인 GMO 옹호론을 펼치고 있다고 반박했다.

현재 국내 GMO표시제도는 GMO작물 등을 원재료로 사용하더라도 이를 숨길 수 있어 소비자의 선택이나 의지에 반해 대량 소비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경실련은 “GMO 관련 정부의 당면 과제이자 도리는 GMO를 원재료로 사용하고도 표시하지 않아도 되는 현행 GMO표시제도를 즉각 개선해 소비자 불안을 해소시키는 것”이라며 “창조라는 명분과 성과에 매몰돼 가장 중요한 국민들의 요구를 더 이상 외면해선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