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인상해도 해외자본 유출 압력 미미”
상태바
“미국 금리인상해도 해외자본 유출 압력 미미”
  • 이성태 기자
  • 승인 2015.06.08 13: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른 해외자본 유출 압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8일 한국경제연구원이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단기금리 인상으로 우리나라의 채권자본은 순유입이 점차 증가했으며 주식자본은 순유출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김성훈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해외투자자들이 주식을 처분하는 대신 채권보유를 늘리면서 실제 해외채권자본 유출 압력이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며 “하반기 예정된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해외채권자본 유출 또한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미국의 금리상승 이후에도 국내 경기변화에 초점을 둔 통화정책을 펼칠 여력은 충분하다는 의미”라며 “다만 미국 금리 인상 직후의 자본유출 압력이나 국제금융시장의 불확실성 등은 다각도로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국제유가가 상승할 경우 비산유국이 산유국보다 혜택을 누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국제유가가 상승하면 미국을 비롯한 호주, 캐나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사우디아라비아 등 지하자원이 풍부한 나라의 실질GDP는 충격 초기 2~3년간 원래 성장 추세선보다 낮아지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반면 한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터키 등 비산유국들의 실질GDP는 원래 성장 경로를 상회하는 혜택을 입었다.

김성훈 부연구위원은 “국제유가가 상승하면 산유국이 더 큰 이득을 얻을 것이란 기존 상식과 상반되는 결과”라고 말했다.

그 원인에 대해 김 부연구위원은 “유가가 상승하면 가전제품이나 자동차 등 에너지 사용량이 높은 기존 제품에 대한 교체 수요가 높아질 수 있다”며 “이는 에너지 효율적인 신제품 개발을 위한 생산과 투자를 자극해 단기적으로 내수와 수출을 확대시키고 중장기적으로 산업 전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 단기금리 상승과 국제유가 반등 충격이 실질GDP, 인플레이션, 자본유출입 등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동일한 방향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미국기준금리 인상이 예기치 못하게 단행됐을 때 국가유가가 동시에 반등되면 두 배의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대응책 마련에 있어 국제유가의 흐름도 살펴보아야 한다고 한경연은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