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박종철 열사 산화 ‘남영동 대공분실 터’ 등 6곳에 인권현장 바닥동판 추가 설치
상태바
故 박종철 열사 산화 ‘남영동 대공분실 터’ 등 6곳에 인권현장 바닥동판 추가 설치
  • 김윤태 기자
  • 승인 2018.01.11 14: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자료=서울시>

서울시가 고(故) 박종철 열사의 31주기인 오는 14일에 맞춰 ‘남영동 대공분실 터’에 인권현장 바닥동판을 설치 완료했다.

11일 서울시에 따르면 바닥동판은 건물 외부 출입구 근처 바닥에 국가 폭력에 대한 저항을 상징하는 역삼각형 형태(가로·세로 35cm)로 설치됐다.

남영동 대공분실(지하철 1호선 남영역 인근)은 고 박종철 열사와 민주화운동의 거목으로 불리는 고 김근태 전 민주통합당 상임고문 등 군사독재 시절 수많은 민주화 인사들이 끌려와 강도 높은 고문을 당한 것으로 악명 높은 곳이다.

현재는 ‘박종철 기념전시실’ 등 ‘경찰청 인권센터’로 운영되고 있다.

이와 함께 민주화운동 당시 단일사건 최대인 1288명의 학생이 구속당한 ‘10·28 건대항쟁 자리’와 민주인사 등에게 고문수사를 했던 국군보안사 서빙고분실 ‘빙고호텔 터’, 일제강점기 여성인권을 탄압한 대표적인 기생조합인 ‘한성권번 터’, 미니스커트·장발 단속 등 국가의 통제와 청년들의 자유가 충돌했던 ‘명동파출소’, 부실공사와 안전관리 소홀로 49명의 사상자를 낸 ‘성수대교’ 등 5곳에도 인권현장 바닥동판이 설치 완료됐다.

이로써 서울 시내에 설치된 인권현장 바닥동판은 총 45개로 확대됐다.

서울시는 근현대 흐름 속에서 벌어졌던 인권탄압과 이에 맞서 저항했던 인권수호의 생생한 역사를 품고 있는 곳에 황동으로 만든 바닥동판을 설치해 인권의 가치를 되새기는 ‘인권현장 표석화 사업(인권서울기억)’을 지난 2015년부터 추진하고 있다.

시는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났던 1894년부터 2000년까지 인권사의 역사적 현장 가운데 시민·전문가 추천, 전문가 자문회의 등을 거쳐 최종 62곳을 선정 완료했다.

2016년에는 4.19혁명의 도화선이 된 ‘4·18 선언’이 있었던 안암동 현장과 호주제·동성동본 혼인금지제도 폐지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한국가정법률상담소’ 등 39개소에 바닥동판을 설치했다.

이에 앞서 2015년에는 ‘세계인권선언의 날’을 맞아 서울시청 앞 녹지대에 인권조형물(1개소)과 남산 옛 안기부 자리에 인권현장 안내 표지판(9개소)도 설치했다.

한편 서울시는 작년 인권현장을 시민들이 쉽고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스토리텔링을 곁들인 도보 탐방코스 7개를 개발하고, 이중 4개 코스(민주화(4월길·6월길), 사회연대(여성길), 남산(자유길))를 운영한 결과 26회에 걸쳐 시민·학생 등 1300여명이 참여했다고 전했다.

인권현장 바닥동판 설치와 도보 탐방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 인권담당관(☎2133-6384)으로 문의하면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