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반도체 수입시장 재편 최대 수혜국은 대만·베트남…한국 1.8%p↑
상태바
美 반도체 수입시장 재편 최대 수혜국은 대만·베트남…한국 1.8%p↑
  • 이성태 기자
  • 승인 2023.05.09 07: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2018년 미·중 통상 갈등 이후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에서 중국산 비중은 3분의 1토막 났는데 한국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소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018년 미·중 통상 갈등 이후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을 대상으로 주요국 점유율을 분석한 결과 2018∼2022년 중국의 점유율 하락(-18.5%포인트)을 기회로 대만(9.7%포인트)·베트남(7.3%포인트)이 점유율을 빠르게 늘리며 반도체 생산기지로 입지를 강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한국의 점유율도 상승했지만 상승폭(1.8%포인트)은 상대적으로 소폭에 그친 것으로 분석됐다.

국가별로는 중국의 점유율이 2018년 30.2%에서 2022년 11.7%로 3분의 1 토막이 났다. 중국은 2000년대 들어 점유율 1위를 줄곧 유지했지만 2018년 이후 하락하기 시작해 2022년 4위로 떨어졌다.

대만의 점유율은 2018년 9.5%에서 2022년 19.2%로 2배로 늘어나며 4위에서 1위로 등극했다. 2017년·2018년 메모리 호황의 수혜를 본 한국의 점유율은 2017년 3위로 올라섰고 이후 중국의 입지 약화로 2022년 3위를 유지했다.

한·대만을 비교하면 2018년 한국의 점유율이 대만을 1.3%포인트 상회했지만 최근 대만의 점유율 급상승으로 2022년 한국이 대만을 6.6%포인트 하회하며 양국 간 격차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국가안보와 자국 공급망 강화를 내세우며 2018년부터 대중 수입 관세 부과와 중국 기업에 대한 수출제한 등 다양한 규제를 적용했다.

먼저 대중 수입에 대해 2018년 3차례에 걸쳐 10~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으며 2019년에도 이 기조를 이어갔다. 같은 기간 미국은 Entity List를 활용해 미국산 기술이나 소프트웨어를 직접 이용해 만들어진 부품·장비 등의 대중 수출제한을 실시했다. 그 영향으로 제재를 받은 중국 기업들은 반도체 생산과 반도체 역량 강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대만과 베트남은 미국의 반도체 최대 수입품목(33.4%)인 컴퓨터 등의 부품에서 중국의 입지 약화를 기회로 점유율을 늘리며 반사이익을 누린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등의 부품에서 미국의 대중 수입액은 2018∼2022년 96억7000만 달러(-58%) 감소했는데 같은 기간 대만 수입액은 75억6000만 달러(327%) 증가했고 베트남 수입액은 35억1000만 달러(4038%) 증가했다.

한국 수입액은 25억8000만 달러(52%) 증가하며 중국의 공백을 신속하게 대체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2018∼2022년 컴퓨터 등의 부품은 중국의 미국 수입시장 점유율 하락에 15.0%포인트 기여한 반면 대만, 베트남, 한국의 미국 수입시장 점유율 상승에 각각 6.8%포인트, 3.5%포인트, 1.0%포인트 기여해 미국 반도체 수입구조 재편에 핵심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됐다.

대만과 베트남은 미국의 반도체 수입시장 중 고성장하는 품목에서의 입지 강화를 통해 점유율 확대를 가속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미국의 기타 전자집적회로 품목 수입은 2018~2022년 77%(85.3억 달러⇒151.3억 달러) 늘었는데, 이 중 대(對) 대만 수입액은 119%(18.4억 달러⇒40.3억 달러) 증가해 대만의 미국 수입시장 점유율 확대에 1.6%포인트 기여했다.

한편 미국의 LED·태양전지·태양광 모듈 등’ 품목 수입은 2018~2022년 135%(56.1억 달러⇒131.6억 달러) 늘었는데, 이 중 대(對) 베트남 수입액은 874%(3.9억 달러⇒38.0억 달러) 증가해 베트남의 미국 수입시장 점유율 확대에 3.3%포인트 기여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우리 정부가 첨단전략산업 시설투자 세액공제 확대, 투자 인허가 처리 신속화 등 국내 투자환경 개선에 박차를 가하는 만큼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활용해 국내 반도체 생산기반을 강화하고 반도체 수출 품목을 다변화하는 전환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