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분양한 공공분양 아파트 분양가는 민간분양에 비해 3.3㎡당 500만원가량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이후 민간의 분양가격 오름폭이 컸던 반면 공공분양의 경우 추정 분양가를 적용하는 사전청약 단지가 늘면서 분양가 산정이 보수적으로 책정돼 격차가 벌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연초 시점에서 공급된 공공분양 물량이 많지 않았고 추후 공공분양 아파트의 분양가 인상 또한 불가피한 상황으로 민간과 공공의 분양가 격차는 다소 줄어들 여지가 있다.
15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수도권에서 분양한 공공·민간분양 아파트의 3.3㎡당 평균 분양가격을 조사한 결과 공공분양 아파트는 1469만원, 민간분양은 1970만원으로 집계됐다.
공공분양 아파트 분양가는 지난해에 비해 3.3㎡당 10만원(1459만원→1469만원) 오른 반면, 민간분양은 1817만원에서 1970만원으로 153만원 증가했다.
공공과 민간분양 아파트의 평균 분양가 격차는 3.3㎡당 501만원이었다. 분양가 변동이 크지 않은 공공분양과는 달리 민간분양가는 2021년 이후 인상폭이 컸다. 건축원가를 비롯해 금융비용·토지매입 비용 등이 꾸준히 올랐고 지난해 11월과 올해 1월에 걸쳐 수도권 규제지역이 대거 해제됨에 따라 분양가상한제 및 HUG(주택도시보증공사)의 고분양가 심사 대상지가 축소된 점 등이 민간분양 아파트의 분양가 인상을 이끈 것으로 파악된다.
수도권 민간분양 아파트 평균 분양가가 오른 데는 경기지역의 분양가 상승 영향이 컸다. 올해 1월 안양시 후분양 아파트 평촌센텀퍼스트가 전용면적 84㎡ 기준 10억원 수준(최초 분양가 기준)에 분양했으며 2월 분양한 구리시 구리역롯데캐슬시그니처는 지역 내 최고 분양가를 경신했다.
지난해 경기남부권의 정비사업 단지(분상제 미적용)가 평균 분양가격을 끌어올린 데 이어 올해에도 오름세를 뒷받침할 가능성이 높다.
서울은 송파구 리모델링 사업지 잠실더샵루벤, 더샵송파루미스타와 후분양으로 공급된 마포구 마포더클래시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평균 분양가가 크게 올랐지만 올해 들어 영등포·은평구 등의 신규 분양단지들이 인근 시세 대비 비교적 낮은 분양가를 책정하면서 작년 분양가보다 16% 감소했다.
인천은 지난해 송도국제도시(분상제 미적용) 분양 여파로 평균 분양가격이 높게 반영돼 올해 초에는 상대적으로 소폭 하락한 양상을 보였다.
금융비용 부담으로 분양가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짐에 따라 우수 입지에 초기자금 부담이 적은 공공분양 아파트가 선전하고 있다. 2월 경기 고양·남양주 등에서 분양한 공공분양 아파트의 사전청약 평균 경쟁률은 28대 1(일반공급 기준)을 나타냈고 3월 SH(서울주택공사)에서 공급한 고덕강일3단지는 67대 1을 기록했다.
이달 중 수도권 공공택지 전매기간이 완화되면 공공분양 신규 단지에 청약 관심이 더욱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부동산R114 리서치팀 백새롬 책임연구원은 “다만 기본형건축비 추가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사전청약으로 진행되는 단지는 본청약 시점에서 최종 분양가가 조정될 가능성이 높고 입주시기에 대한 불확실성과 거주기간 이후의 자본이득 등을 고려해야 한다”면서 “특히 토지임대부 분양주택 등 신규 유형의 공공주택은 매월 지불해야 하는 토지임대료를 비롯해 환매 조건 등의 주의 사항을 꼼꼼히 따져보고 신청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