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극적 노동시장정책 지출 GDP 대비 0.1%p 증가 시 실업률 약 0.24%p 감소
상태바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지출 GDP 대비 0.1%p 증가 시 실업률 약 0.24%p 감소
  • 이성태 기자
  • 승인 2022.12.21 07: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이 실업률과 장기실업률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1일 발표한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이 실업률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를 통해 향후 소극적 노동시장정책의 확대는 지양하고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내에서도 정책의 효과를 고려해 세부항목에 대해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은 고용서비스, 직업훈련, 고용 인센티브, 보호고용·재활훈련, 직접일자리 창출, 창업 인센티브 등 노동시장의 참여를 중시하는 정책을 말한다.

반면 소극적 노동시장정책은 실업급여나 실업부조와 같이 소득보조를 위주로 하는 지원정책이다.

보고서는 국제비교가 가능한 2019년 기준 OECD 국가(33개)들의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지출 규모(GDP 대비 비중)를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는 OECD 평균(0.72%)의 약 절반 수준인 0.37%를 기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가별 순위에서도 OECD 33개국 가운데 20위를 기록하고 있어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의 지출 규모가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노동시장정책의 지출 규모 대비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지출 비중은 OECD 국가들은 평균 52.55%를 기록한 반면 우리나라는 44.05%로 50% 미만으로 조사됐다.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지출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고용 인센티브 정책의 경우 GDP 대비 지출 비중(0.09%)이 OECD 평균(0.33%)보다 0.24%포인트나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접일자리 창출 관련 지출 비중은 GDP 대비 0.10%로 OECD 평균(0.05%)보다 높았다.

보고서는 OECD 국가별 패널데이터를 사용해 2000~2019년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이 실업률과 장기실업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OECD 국가를 대상으로 실증분석 결과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의 지출이 GDP 대비 0.1%포인트 증가하면 실업률은 약 0.24%포인트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기실업률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GDP 대비 0.1%포인트 증가하면 장기실업률이 약 0.17%포인트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을 세부항목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에서는 고용 인센티브와 직업훈련이 실업률 감소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 인센티브 규모가 GDP 대비 0.1%포인트 증가하면 실업률은 약 0.76%포인트, 장기실업률은 약 0.59%포인트 감소하고 직업훈련 규모가 GDP 대비 0.1%포인트 증가하면 실업률은 약 0.43%포인트, 장기실업률은 약 0.21%포인트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정부가 재정을 투입해 일자리를 만드는 직접일자리 창출의 경우 유의적인 수치는 아니지만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가운데 유일하게 양의 계수(실업률 증가 방향)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극적 노동시장정책에 속하는 실직자 소득지원에 대한 지출(실업급여·실업부조 등)은 오히려 실업률을 증가시켰다. 분석결과 실직자 소득지원 지출 규모가 GDP 대비 0.1%포인트 증가하면 실업률은 약 0.44~0.48%포인트, 장기실업률은 약 0.27~0.29%포인트 증가했다.

이에 대해 보고서는 실업급여나 실업부조 등의 소득지원은 오히려 실업자들을 안주하게 함으로써 근로의욕을 약화시켜 실업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기존 문헌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결과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OECD국가 분석결과 실업급여·실업부조 등 실직자 소득지원 정책은 실업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고용 인센티브, 직업훈련 정책 등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은 실업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향후 우리나라도 소극적 노동시장정책보다는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을 중심으로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경연 유진성 선임연구위원은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의 세부항목 가운데에서 고용 인센티브나 직업훈련 프로그램은 실업률 감소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지출규모도 OECD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난 만큼 해당 분야에 대한 정책을 확대·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반면 고용서비스나 창업 인센티브 프로그램의 경우 향후 효율성 제고를 위해 개선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직접일자리 창출에 대해서는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중 유일하게 비유의적이지만 실업률에 양의 방향을 가지고 현재 지출규모(GDP 대비 0.10%)도 OECD 평균(GDP 대비 0.05%)보다 높은 만큼 향후에는 점진적으로 낮춰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