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대출 부실경고등…대출금액 급증했지만 상환능력은 악화
상태바
기업대출 부실경고등…대출금액 급증했지만 상환능력은 악화
  • 이성태 기자
  • 승인 2022.10.31 09: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레고랜드발 자금경색이 금융시장에 혼란을 가져온 가운데 또 다른 채무불이행 사태가 촉발될 위험이 있는 등 국내 기업들의 대출에 부실 경고등이 켜졌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31일 기업 대출의 부실 징후로 코로나19 이후 급증한 기업대출, 기업들의 대출 상환능력 악화, 높은 변동금리 대출 비중, 부동산 등 취약업종으로의 대출 쏠림현상, 비은행기관을 통한 대출 비중 증가 등 5가지 요인을 지적하면서 대응책으로 기준금리 인상 속도 조절, 법인세제 개선을 통한 세부담 경감 등을 제시했다.

실제 코로나19 이후 기업대출은 눈덩이처럼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팬데믹 이전 10년간(209~2019년 말)은 기업대출이 연평균 4.1% 증가한 데 비해 팬데믹 이후 현재(2019년 말~2022년 상반기)까지 2년 반 동안 연평균 증가율은 12.9%에 달했다.

그 결과 기업 대출금액은 2019년 말 976조원에서 2022년 상반기 1321조3000억원으로 2년 반 만에 345조3000억원(35.4%)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19 위기 전 10년간 증가한 대출(324조4000억원)보다도 많은 수준이다.

그러나 상환능력은 급속히 취약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의 상환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인 DSR을 통계확보가 가능한 주요국(총 17개국)들과 비교해보면 한국을 제외한 16개국 기업들의 DSR은 팬데믹 이전(2019년) 평균 41.1%에서 2022년 1분기 40.6%로 0.5%포인트 감소하면서 상환능력이 개선됐다. 반면 한국기업들의 DSR은 같은 기간 37.7%에서 39.7%로 오히려 2.0%포인트 늘어나면서 상환능력이 악화됐다.

기업대출은 금리가 오르면 원리금 상환 부담이 늘어나는 변동금리 대출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9월 현재 대출 잔액 기준으로 기업 10곳 중 7곳 이상(72.7%)이 변동금리 대출을 받았고 고정금리 대출은 10곳 중 2∼3곳(27.3%)에 불과했다.

신규대출 중 변동금리 비중은 팬데믹 이후 최저 58.8%(2020년 2월)에서 최고 73.0%(2022년 7월)까지 높아졌다.

대출집중도 지표를 통해 기업 대출을 업종별로 살펴보면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취약 업종·경기민감 업종인 부동산업과 도소매업, 숙박음식업의 대출집중도가 각각 2.8과 2.1, 2.0으로 나타나 GDP 비중 대비 가장 많은 대출이 발생했다.

전경련은 부동산 경기 경착륙과 내수 위축 가능성이 높은 상황으로, 이들 업종에서의 대출 부실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기업대출을 금융기관별로 보면 코로나19 이후 예금은행과 비은행기관을 통한 대출이 모두 증가한 가운데, 특히 상대적으로 대출금리가 높은 비은행기관의 대출 증가율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2019년 말 이후 2022년 상반기까지 연평균 기준 예금은행은 10.9% 늘어난 데 비해 비은행기관은 27.5% 증가했다. 그 결과 전체 예금취급기관 중 비은행기관을 통한 기업대출 비중은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인 29.7%를 기록했다.

전경련은 기업 대출 부실화 방지를 위해 기준금리 인상 속도 조절, 법인세제 개선을 통한 기업 세부담 경감의 두 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최근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가파르게 인상되고 있다. 지난해 7월 0.5%였던 기준금리는 1년 3개월 만에 2.5%포인트가 인상돼 10월 현재 3.0%에 이르렀다. 이는 2000년 이후 4번의 금리인상 기간 중 가장 빠른 속도다.

전경련은 “미국의 공격적 금리 인상에 따른 국내 기준금리의 추종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기업들의 자금사정이 급속히 악화되고 있는 만큼 금리인상의 속도 조절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제언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도 시중에 유동성이 풍부해졌다가 금리가 인상되면서 기업들이 자금난·신용경색 등을 겪었다”면서 “현재는 그때보다 금리가 더욱 빠른 속도로 오르고 있어 기업들이 불어나는 상환부담을 견디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