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00대 기업 영업이익률 4.5%…인건비율은 7.1%
상태바
작년 100대 기업 영업이익률 4.5%…인건비율은 7.1%
  • 이성태 기자
  • 승인 2020.04.28 07: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속성장연구소, 7년 새 임직원 평균 연봉 9000만원 이상 4배 증가

지난해 국내 100대 기업의 영업이익률은 4.5%로 2013년 이후 7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건비율은 7.1%로 가장 높았다.

또 경영 내실이 감소하는데도 임직원 한 명에게 주는 평균 연간 보수가 9000만원이 넘는 기업도 2013년 5곳에서 작년에는 20곳으로 4배 많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28일 조직개발 전문업체 지속성장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100대 기업의 매출액은 964조원으로 집계됐다.

2018년 1006조원의 95.8% 수준으로 2013년(995조원)과 2014년(978조원)보다도 적어 국내 대기업의 매출 외형 성장은 이미 한계점에 도달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영업 내실이 더 부실해졌다는 점에서 심각성이 더하다. 지난해 100대 기업이 올린 영업이익 규모는 43조6309억원이었다. 2017년 94조1213억원, 2018년 97조6422억원과 비교하면 각각 46.4%, 44.7%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특히 작년 100대 기업 영업이익은 2013년 이후 최근 7년 중 가장 적다. 2014년(47조9866억원), 2015년(52조511억원), 2016년(58조3336억원)보다 낮았다.

이처럼 기업 영업내실이 크게 축소된 원인은 명확하다. 제품과 서비스 등의 판매 부진 등으로 인한 매출 하락이 가장 컸다. 여기에 인건비 부담도 일정 부분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 100대 기업이 임직원에게 지급한 인건비 규모는 2013년 57조2505억원, 2014년 59조6362억원, 2015년 63조2869억원, 2016년 63조9196억원, 2017년 64조3584억원, 2018년 68조1949억원으로 지속 증가했다. 작년에는 68조1528억원으로 전년과 비슷했다.

통상적으로 인건비가 증가하게 되면 고용이 늘거나 임직원 1인당 평균 보수가 높아진다. 때문에 인건비 증가로 고용이 증가했다는 단면적인 수치만 놓고 보면 긍정적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다.

실제 최근 7년간 임직원 고용 숫자는 2013년 80만4182명, 2014년 81만9443명, 2015년 84만4387명으로 증가했다. 이후 고용 인력은 2016명 83만132명으로 줄었다가 2017년(82만1410명), 2018년(83만3214명), 2019년(84만2586명) 등으로 최근 3년간은 연속 증가세로 돌아섰다.

문제는 매출과 영업내실 등의 경영성과 대비 인건비·고용과의 상관관계를 따져보면 얘기는 달라진다. 특히 지난해 100대 기업의 매출 대비 영업이익 비율(이익률)은 4.5%로 2013년 이후 가장 낮았다. 이와 달리 매출대비 인건비 비율(인건비율)은 7.1%로 최근 7년 중 가장 높아 대조를 보였다.

지난 2017년에는 이익률(9.7%)이 인건비율(6.6%)보다 더 컸다. 2018년에도 상황은 비슷했다. 2017년과 2018년에는 이익률이 인건비율보다 2.9~3.1% 정도 높았던 것이다.

반면 지난해는 인건비율이 이익률보다 2.5%나 높았다. 이는 2013~2016년 사이 0.3~1.2%로 인건비율이 이익률보다 더 높은 것과 비교해도 2배에서 8배 정도 높은 비율이다.

지난해 100대 기업 인건비가 높아진 이유 중에는 고액 보수를 주는 기업이 늘어난 것도 한 요인으로 꼽혔다. 실제 임직원 1인당 평균 보수를 9000만원 이상 고액 보수를 주는 기업 수가 2013년에는 5곳밖에 되지 않았다. 이후 2014년 7곳, 2015년 8곳, 2016년 11곳, 2017년 12곳, 2018년 17곳으로 점점 증가했다.

지난해는 처음으로 20곳이나 됐다. 최근 7년 중 영업이익이 가장 적을 때 고액 보수를 지급한 기업 수는 역설적이게도 가장 많았던 것이다. 특히 임직원 1인당 평균 급여가 1억원 넘는 기업 숫자도 2013년 2곳에서 작년에는 처음으로 10곳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경수 지속성장연구소 대표는 “국내 대기업의 경우 경영성과와 상관없이 임직원들의 보수는 꾸준히 상승하다 보니 저효율 고비용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높아지는 인건비 부담으로 인해 중소기업의 경우 우수 인재의 이탈화 현상은 물론 대기업조차 해외로 공장을 이전하려는 오프 쇼어링(Off-shoring) 등이 나타나고 있어 국내 기업의 경쟁력을 위해서는 인건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선결 과제 중 하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신 대표는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해외 기업들이 국내로 복귀하려는 리쇼어링(Reshoring) 바람이 활발해지려면 인건비 문제를 어떻게 풀지가 가장 핵심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