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봉(三峰) 정도전⑥ 주홍글씨처럼 따라다닌 ‘외가의 천한 신분’
상태바
삼봉(三峰) 정도전⑥ 주홍글씨처럼 따라다닌 ‘외가의 천한 신분’
  • 한정주 역사평론가
  • 승인 2014.05.30 16: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호(號), 조선선비의 자존심⑩

▲ KBS 드라마에서 외가의 천한 신분을 이유로 탄핵받아 귀향가는 정도전
[헤드라인뉴스=한정주 역사평론가] 앞서 살펴본 대로 정도전의 문집인 『삼봉집』에는 그의 호 ‘삼봉’이 ‘삼각산 삼봉’에서 비롯되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여러 편의 시(詩)와 글이 존재한다. 그런데 정도전이 남긴 글은 말할 것도 없고 그의 행적을 연도별로 기록해놓은 『삼봉집』 「부록(附錄)」의 ‘사실(事實)’ 편을 아무리 샅샅이 뒤져보아도 ‘단양’이나 ‘도담삼봉’이라는 단어나 지명은 찾아볼 수 없다.

필자는 정도전의 호와 관련한 여러 가지 학설과 주장을 종합하고 나름대로 결론을 내리는 과정에서 ‘삼봉’의 유래를 둘러싸고 빚어진 논란을 매듭지을 해법을 찾을 때 정도전의 불분명한 출생내력과 함께 미천한 신분이었던 어머니 쪽의 가계(家系)가 유력한 근거가 될 수도 있다는 생각에 이르게 되었다.

한영우 교수가 지적하고 있듯이 매우 기이하게도 조선 개국의 최대 공신(功臣)이자 정승의 자리에까지 오른 인물인데도 정도전은 언제 어디에서 태어났는지에 대한 명확한 기록이 없다.

단지 태조(太祖 : 이성계) 5년(1396년)에 명나라와의 외교 문제로 정도전을 명나라에 보내라는 외교적 압력이 있었을 때 그가 자신의 나이가 이미 55세가 되어 먼 길을 떠날 수 없어 명나라에 갈 처지가 못 된다는 기록으로 추정해 그의 출생년도가 1342년이라고 짐작해볼 수 있을 뿐이다.

정도전의 출생지에 관해서도 단양설, 개경설, 양주 삼각산설, 경북 영주 혹은 봉화설 등 여러 학설과 주장이 혼재(混在)하고 있다.

당시 사람들이 보통 외가(外家)에서 출생했다는 사례로 볼 때 단양에서 태어났을 가능성도 있지만 그의 아버지 정운경이 개경에서 태어났고 정도전이 개경 부근에서 성장했기 때문에 개경에서 태어났을 가능성도 있다.

또한 유년기에는 개경 동남쪽의 삼봉(三峰) 혹은 삼각산(三角山)에서 살았다는 말도 있기 때문에 이곳에서 태어났을 가능성 역시 배제하기 어렵다.

그런데 정도전은 벼슬길에 오른 이후 이렇듯 불분명한 출생과 더불어 어머니 쪽의 가계(家系)가 천하고 명확하지 않다는 이유로 여러 차례 곤욕을 치렀다. 한영우 교수가 쓴 『왕조의 설계자 정도전』(P18∼19에서 인용)에는 이러한 상황이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다.

“훌륭한 아버지 밑에서 성장한 정도전은 자신의 능력으로 벼슬길을 달려 나갔지만 그의 등뒤에는 세인의 따가운 눈총이 항상 따라다니고 있었다. 그것은 다름 아니라 정도전의 외가와 관련된 신분에 얽힌 문제 때문이었다.

정도전의 출신을 공식적으로 거론하기 시작한 것은 공양왕대부터다.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 따르면 공양왕 3년9월 성헌(省憲)의 관리들은 정도전을 탄핵하면서 ‘정도전의 가풍(家風)이 부정(不正)하고 파계(派系)가 밝지 못하다’고 지적하고 그의 처벌을 주장하였다.

이듬해 4월에도 간관(諫官) 김진양·이확·이래·이감·권홍·유기 등이 연합 상소를 올려 정도전 등을 탄핵하면서 ‘정도전은 천지(賤地)에서 몸을 일으켜 높은 벼슬에 올랐다’고 공격하였다.

이때 그들은 정도전뿐만 아니라 조준·남은·윤소종·남재·조박 등 이성계 일파를 한꺼번에 공격했는데 유독 정도전에 대해서만 집안을 문제삼았다. 여기서 정도전의 가풍(家風)이나 파계(派系)가 천하고 분명하지 않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지 않지만 대체로 외가 쪽을 겨냥해서 하는 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태조실록(太祖實錄)』은 평생 주홍글씨처럼 정도전을 따라다녔던 ‘외가의 천한 신분’을 지나치도록 자세하게 서술하고 있다.
정도전을 죽인 이방원이 임금이 된 후 편찬한 『태조실록(太祖實錄)』에서도 평생 주홍글씨처럼 정도전을 따라다녔던 ‘외가의 천한 신분’을 지나치도록 자세하게 서술하고 있다. 정도전을 죽이는 것으로는 분이 안 풀렸던 이방원이나 그 추종 세력들이 정도전을 출생에서부터 미천하고 형편없는 인간으로 만들려고 한 의도가 다분히 개입된 기록이다.

그러나 이러한 내용이 국가의 공식 기록인 실록(實錄)에까지 실렸다는 것은 그 불순한 의도를 떠나 그와 같은 이야기가 꽤 광범위하게 알려져 있었다는 사실을 반증해주고 있다.

“정도전의 자(字)는 종지(宗之)요 호는 삼봉(三峯)이다. … 그의 외할아버지인 우연(禹延)의 장인 김전(金戩)은 일찍이 스님이 되었다. 김전은 수이(樹伊)라는 종의 아내와 몰래 간통하여 딸 하나를 낳았다. 이 여자가 정도전의 외할머니다. 우현보(禹玄寶)의 자손은 김전과 인척 관계여서 이와 같은 내력을 자세히 들어 알고 있었다. 정도전이 처음에 관직에 임명될 때에 고신(告身 : 신분증)이 지체된 일을 두고 우현보의 자손이 소문을 퍼뜨려 그렇게 되었다고 생각하고 원한을 품었다. 그러다가 자신의 뜻을 이루게 되자 우현보의 집안을 무함(誣陷)하여 죄를 만들어 내려고 하였다. 마침내 은밀하게 황거정(黃居正) 등을 사주(使嗾)하여 그 세 아들을 죽였다.” 『태조실록』 7년(1398년) 8월26일, ‘정도전의 졸기(卒記)’

이렇듯 불분명한 출생내력과 외가(外家) 쪽을 겨냥한 정치적 비난과 공격은 정도전이 단양의 ‘도담삼봉’을 취해 자신의 호(號)로 삼았을 가능성을 매우 낮게 만드는 유력한 근거로 삼기에 충분하다.

정도전이 그러한 비난과 공격에 초연한 사람이었다면 모르겠지만 구태여 자신의 인생이나 정치적 행보에 이롭기는커녕 오히려 장애가 되는 외가에 연고해서 자신의 호를 삼을 까닭이 없기 때문이다.

정도전의 삶과 죽음을 볼 때 그는 유학(儒學)을 배우고 벼슬에 나선 이후 죽을 때까지 철저하고 완벽하게 ‘정치적인’ 인간이었다.

그는 유배형에 처해지고 개경 출입이 금지되어 미래가 전혀 보이지 않은 채 유랑 생활을 했던 9년여의 암울한 세월 동안에도 정치적으로 재기(再起)할 날을 기다리며 준비를 했을망정 결코 정치에 대한 뜻을 단 한 순간도 잊은 적이 없는 사람이다.

이러한 까닭 때문이라도 모계(母系)의 미천한 신분 때문에 갖은 정치적 곤욕을 치렀던 정도전이 외가와 관련이 있는 단양의 ‘도담 삼봉’을 자호(自號)로 삼았다는 것은 쉽게 이해하기 어렵다.

필자가 여러 인물들의 호(號)에 담긴 뜻을 탐구하고 해석하면서 명확하게 깨달은 사실은 옛사람들은 대개 자신의 기호나 취향 그리고 자신이 품은 뜻과 철학을 담아 자호(字號)로 삼았다는 것이다.

물론 ‘소처이호(所處以號)’라고 하여 단순하게 자신의 태생이나 삶과 관련이 있는 지명(地名)을 호(號)로 삼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러나 마음속에 품은 뜻과 기상이 높고 큰 사람은 비록 지명으로 자호(自號)를 삼더라도 대개 자신의 철학과 정치적 지향을 담고 있는 지명을 호로 취했다.

더군다나 정도전처럼 뼛속까지 ‘정치적’이었던 유학자(儒學者)가 단순히 자신의 출생과 관련이 있다고 해서 특정 지명(地名)을 호로 삼았을 가능성은 매우 적다.

하나의 세상(고려)을 뒤집어엎고 또 다른 세상(조선)을 세우겠다는 생각은 아무나 가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이 가질 수 있는 가장 거대한 야망이자 비전이다. 이런 사람이라면 반드시 자신의 뜻과 철학을 호(號)에 남기기 마련이다.<계속>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