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산업연구원, “내년 전국 주택매매가 3.5%·전세가 4.5% 상승”
상태바
주택산업연구원, “내년 전국 주택매매가 3.5%·전세가 4.5% 상승”
  • 김윤태 기자
  • 승인 2015.12.02 15: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년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3.5%, 전세가격은 4.5%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올해 매매가 4%, 전세가 5% 상승보다는 상승폭이 줄어든 것이다.

주택산업연구원은 2일 ‘2016년 주택시장 전망’ 보고서에서 내년 주택시장은 거래·공급·가격 모든 부문에서 올해보다 둔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덕례 연구위원은 “내년 전국 주택매매가격은 3.5%, 전세가격은 4.5% 상승이 전망되지만 주택금융 관련 정책의 불확실성이 증폭되고 있어 LTV·DTI 규제완화 종료 시점인 내년 3분기가 최대의 변곡점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 <자료=주택산업연구원>

올해 주택공급실적은 금융위기 이후 누적적으로 쌓여온 대기 및 보유물량, 사업계획물량, 내년 계획물량의 조기공급이 일시적으로 몰린 현상으로 내년까지 지속될 수 없다고 보고서는 내다봤다.

주산연이 자체 조사한 주택공급전망 BSI도 118.5로 주택사업자가 자율적으로 공급량을 조정할 것으로 보이며 지방은 이미 공급물량이 감소하고 있다.

내년 주택거래전망 BSI는 수도권 100, 지방 66으로 지방중심의 거래감소가 예상되고 지방중심의 거래감소는 이미 8월 이후 가시화되고 있다.

내년 주택시장의 5대 영향 변수로 보고서는 전세, 공급, 가계부채, 대출규제, 금리를 꼽았다.

특히 영향력이 가장 큰 메가 변수는 가계부채, 대출 규제, 금리 등을 포괄하는 주택금융정책으로 대외변수보다는 대내변수에 의한 시장변동이 커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내년 국내 기준금리 영향은 크지 않겠지만 오히려 대출기관의 가산금리 인상에 의한 영향이 더 클 수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보고서는 “수도권 주택시장이 회복된 지 1년 남짓한 상황에서 주택소비 심리가 위축되면 올해 급증한 공급물량 소진이 어렵고 내수 중심의 확장적 거시정책이 필요한 상황에서 경제적으로도 위험할 수 있다”며 지난 8년간 제로금리 정책을 일관되게 유지하고 있는 미국 주택정책을 반면교사 삼아 내년에는 인내력을 가지고 주택시장이 안정 궤도에 진입할 수 있도록 일관적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덕례 연구위원은 올해 일시적으로 급증한 주택공급 물량은 시장의 자율조정 기능이 유지돼야 해소될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내년에는 2017년 본격화되는 입주시점에 국민들이 분양받은 신규주택으로 원활하게 주거 이동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존 재고주택 거주자들이 분양받은 신규주택으로 주거이동을 하면 주택물량이 시장에 공급되면서 전세난을 완화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입주시점에 수분양자들의 주거이동에 차질이 생기면 미분양·미입주로 인한 사회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보고서는 내년에도 전세가격 상승에 따른 국민의 주거비 부담이 완화되기 어렵기 때문에 주택금융정책이 최초 주택구입자의 매매시장 진입 제약요인으로 작동되면 안 된다며 가계부채의 건전성 관리는 주택소비심리 위축 없이 금리인상 쇼크에 대비할 수 있는 방향으로 금융정책과 주택정책의 통합적 조율을 거쳐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