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사노동 가치 GDP의 25.5%…남성보다 여성 2.6배 더 생산
가사노동 서비스의 가치가 국내총생산(GDP)의 4분의 1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개발원은 오는 22일 발간 예정인 ‘KOSTAT 통계플러스’ 겨울호에서 국민시간이전계정 심층분석 결과 이같이 산출됐다고 5일 밝혔다.
‘통계플러스’에 따르면 2019년 생활시간조사를 기초로 산출한 가사노동 서비스의 가치는 490조9000억원으로 GDP의 25.5%에 상당했다.
성별로는 여성이 생산한 가사노동 서비스는 356조원으로 남성이 생산한 134조9000억원보다 2.6배 많은 수준이다.
연령계층별로는 노동연령층(15~64세)이 410조원(83.5%), 노년층(65세 이상)이 80조9000억조원(16.5%)을 분담했다. 시계열로 보면 남성과 노년층의 가사노동 서비스 생산 비중이 1999년 각각 20.1%, 8.4%에서 2019년 27.5%, 16.5%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기준으로 유년층(0~14세)의 경우 돌봄(105조7000억원)을 중심으로 131조6000억원을 소비했으며 노동연령층과 노년층은 가정관리(각각 259조2000억원, 72조7000억원)를 중심으로 각각 281조9000억원, 77조4000억원을 소비했다.
연령별로 보면 1인당 가사노동 소비는 돌봄이 많이 필요한 0세에 3638만원으로 가장 많고 성년이 되는 20세에 390만원으로 가장 적으며 이후 완만하게 상승하면서 ‘L’자형의 모습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사노동 서비스의 소비와 생산의 차이로 인한 가사노동 서비스의 이전을 가구내(함께 사는 가족)와 가구간(함께 살지 않는 가족)으로 구분하여 보면 가구내에서는 노동연령층과 유년층 간 서비스가 이전되며 가구간에서는 조부모연령(55~75세)에서 손자녀 연령(0~15세)으로 서비스 이전이 이루어졌다.
송준혁 통계개발원장은 “가사노동 서비스의 생산과 소비구조와 흐름을 성별·연령별·가구별로 세부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국민시간이전계정이 보육과 가족돌봄 등 다양한 정부정책 수립과 학술연구의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